셜리story-경영과 리더십/기획의 정석

오징어 게임을 한국 거대 방송사가 못 만드는 이유 10가지

덴부와 셜리 2021. 9. 27. 23:15
728x90
반응형

당연하지


1. 월급
언론고시 보고 지상파 입사..월급 대기업인데.. 그딴 실험작 왜 만들어.

넷플릭스 대기업? CEO가 달라.

여러분은 그저 직원이야..

가만히 있어도 해고 안되고,
월급 나 와.. 그런 무모한 작품을 기획해서 실패하면? 다음 달 승진 심사야..할 수 있어?

반면에 넷플릭스 해고 무섭다잉


2. 퇴직

창작?

한번 만들고 외부에서 인기 감독 작가 될래?

아니면 큰 회사에서 편안히 60세까지
편안히 월급 받을래? 밖은
추워

그러니 실험작 왜 기획해? 왜 만들어..:




3. 심의보다 갑ㅈㄹ

한국 지상파가 심의때문에 오징어게임같은 기획이 안된데..풋..

여러분이 지상파에 10분짜리ㅡ납픔해 봐.. 얼마나
모욕적이고 기분 드러운지.. 지상파에 납품하는 건지 검찰 조사 받으러 가는 건지..

옛날에.. 일부가…

옛날에 그렇고 지금은 안 그럴 수 있음..

심의는 핑계.. 너네 외주사 심사가 문제

오징어게임이ㅡ잔인해서 인기
있는 거 아님

창의력을 믿어주는 힘이 있어야 하고 외주사가 실패해도 지원하는 시스템 필요


4. 제작비

한국 제작비를 대기업 지상파가 외주 제작사에게 보통 이상만 그 정도 줬으면 콘텐츠 잘 할수 있었음

(광고홍보시장이ㅡ독점일때.. 너무 독점 행사 함.. 이 부분은 네이버가 홍보 광고 시장 점유율 높아갈 때 알았음.. 지상파 몰락)

그 많은 지상파 ㅈㄱ원들 월급은 콘텐츠 제작사들의
제작비 피와 땀이었음

근데 해외 넷플릭스가 제작비 더 준데.. 여러분의 선택은?


5. 국내 Ip .. 관리

우려.. 저작권 문제로 우리의 창작력이 해외 넷플릭스에 뺐김. IP 관리

그동안 지상파는 적은 돈에 저작권까지
뺏었음
아니면 공동 소유 명목으로 제작비를 적게 줌

저작권을 일부 줬으니 알아서 협찬하고 해외에 팔고 2치 저작권 활용하라 함

소규모 기획사가ㅡ언제 콘텐츠 팔고 해외유통하고 2차 저작권 판매할까?

못함

근데
넷플릭스에서
2차 저작권 활용에 버금가는 돈을 줘..

그럼 지상파에서 제작하겠어 넷플릭스에서 하겠어


6. 정치

으음..OTT화두, 디지털 미디어 변화의 제일 중요한 지점이 2010 년대 였음

근데 그 중요한 시간을 다 허비함..

지상파는 뉴미디어 변화보다 정치에 신경씀

블랙리스트 만드느라 정신없는 시대였음

국내는 글로벌 OTT 전략 없었음


7. 국내만 때려잡기..

아프리카TV는
훌륭한 전세계 모범적 플랫폼.. 근데ㅡ애로….
별풍선 사건, 아프리카 tv 갑질, 심의와 규제로 허송세월 보냄

유튜브 들어 오게 함

극내는 글로벌 OTT, 플랫폼 전략 없음

첨 도입한 티빙.. 그 당시ㅡ정권은 그 회사 부회장만 죽이려 했었음

8. 미국 전략

아이폰? 한국통신
KT가 앞장 서서 들어오고

넷플릭스 LG 유플러스ㅜ덕분

미국은 시장의 2위..3위하고 처음 손잡고 들어옴

변화가 커짐

통신, IPtv 시장이라 그 당시
지상파는 관심
없었음.. 그건 남 얘기..라고 생각함


9.규제

넷플릭스 유튜브는 해외 플랫폼

그래서 정치.. 기타 비용 등

망사용..:등

비교적

심의에 자유로움



그리고 망 사용비 등을 국내 OTT에 비해….

그래서 고화질 고음질 송출 용이..


국내 웨이브 티빙 카카오Tv가 고화질 고음질 송출이 쉽지 않음



10. 규제2

카카오주식
차트만 봐도…

국내 ip 지키려는 네이버웹툰, 카카오페이지 등 아주 아주 중요함

국내 플랫폼만 욕함.. 일부가..

해외 거대 플랫폼 종속은 신경 안 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