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덴부story-미디어산업/스마트콘텐츠

[문화적할인의 뜻] 블랙핑크, 힌두교의 신(가네샤) 부분 뮤직비디오 재편집(how you like that)

by 덴부와 셜리 2020. 7. 12.
728x90
반응형

문화적 할인은 어느 지역의 문화적 내용이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면 그 의미와 뜻이 반감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영어로 cultural discount...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영화 "친구"가 경상도 사투리는 부산 싸나이의 의리라는 감정을 증폭시킵니다.  그런데 해외에서 자막처리 되면 그 느낌도 줄어듭니다. 

문화적 할인과는 정확히 맞지 않지만, 이번 블랙핑크의 how you like that도 "문화적 차용"으로 인한 갈등이 있었습니다. 

뮤직비디오에 힌두교의 가네샤 신이 등장했거든요.

보통 코끼리 얼굴을 한 신의 얼굴을 우리도 보았을 겁니다.

우리는 그저 "동양적 신비감" 정도의 이미지로 쓸 수 있지만, 힌두교나 인도에서는 "신성모독"으로도 볼 수 있겠죠.

 

인도의 신 가네샤 - 인도 신화에 나오는 지혜·학문의 신. 시바(Siva)의 아들로, 사람의 몸에다 긴 코, 코끼리의 머리, 네 팔이 달렸음.

 

 

블랙핑크 뮤비 재편집 내용이 뉴욕타임즈에서 기사화 됐습니다. 

 

여기서는 문화적 할인이라는 표현보다 문화적 "이미지"의 차용에 대한 실수였다는 내용으로 보여줍니다. 

문화적 차용 ...cultural appropriation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즉 문화적으로 어떤 이미지를 차용했을 때, 그 이미지를 원래 뜻과 문화적 의미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 주의해야 한다는 기사였습니다.

그래서 팬들의 지적으로 블랙핑크 뮤직비디오 재편집과 관련한 내용입니다.

 

블랙핑크 뮤직비디오 관련 기사(new york times 2020.7.11.기사에서 발췌)

 

 

기사 내용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힌두교 신 가네샤의 동상(코끼리 얼굴)은 모든 여성 K- 팝 밴드 인 블랙 핑크 (Blackpink)의 뮤직 비디오에서 단 몇 초만에 화면에서 번쩍였다. 코끼리 머리 모습이 바닥에 보석으로 장식 된 알라딘 램프 근처에서 보여진것입니다.

“ How You Like That ” 비디오에서 가네샤의 모습은 지난달 블랙 핑크에 대한 비판을 터뜨려 지난달 문화적 배분을 비난했다. 종교적인 물건을 소품으로 사용하고 그것을 바닥에 놓아 두는 것. 그들은 이미지를 제거 할 것을 요구했다고 합니다.

“예술가를 싫어하지는 않지만 우리의 힌두교 종교와 신들은 대중 문화 뮤직 비디오를 사용하기위한 장난감 / 소품 / 미학이 아닙니다.”라고 Iam_drish 라는 사용자 이름을 가진 델리의 팬은 트위터에 글을 올렸 습니다. K-pop은 처음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 문화를 무시했다라고 합니다.

폭풍우가 심해지 자 가네샤가 YouTube에 올린 동영상에서 갑자기 사라지고 팬들은 승리를 선언했습니다. 수요일에 Blackpink의 경영진은 신의 편집이 "의도하지 않은 실수"라고 진술하면서 신을 편집했음을 인정했다고 합니다. 

 

2020/07/01 - [셀럽을 위하여] - 블랙핑크 한복 제작은 어디? - 유튜브 세계 신기록과 YG 주가(Feat. how you like that)

 

블랙핑크 한복 제작은 어디? - 유튜브 세계 신기록과 YG 주가(Feat. how you like that)

 블랙핑크가 신곡 how you like that이 인기 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복이 인기인데요 "단하주단"에서 제작했다고 합니다.  뮤직비디오는 32시간 만에 1억뷰를 돌파해서 세계신기록을 했다고

denbooandshierly.tistory.com

 

 

 

 

 

 

 

728x90
반응형